연안 해역 갯녹음 발생으로 바다숲이 사라지는 현상인 바다사막화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이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바다사막화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면적 총 34,708ha 중 48%에 해당하는 16,783ha가 바다사막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은 해역별로 광투과성을 감안한 해조류 서식 수심기준을 근거로 동해(15m), 남해(10m), 제주(15m)의 연안에 대하여 잠수조사와 초분광 항공영상촬영 기법등을 동원하여 바다사막화 실태를 조사하고 있으며, 동해,남해,제주해안에 대하여는 조사가 완료되었고, 서해안은 현재 조사가 진행중이다.

조사가 완료된 해역별 바다사막화 발생현황에 따르면 동해의 경우 총 조사대상면적 17,054ha중 62%에 해당하는 10,517ha가 가장 상황이 심각하며, 제주의 경우 조사대상 9420ha 중 37%에 해당하는 3495ha, 남해의 경우 조사대상 8234ha 중 33%에 해당하는 2737ha가 각각 바다사막화가 진행중이다

“바다사막화 발생에 따른 연간 어업소득 피해 추정자료”에 따르면, 연간 1ha당 어업소득의 40%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연간 1ha당 어업소득 1천 1백 47만중 40%에 해당하는 4백 58만 9천원의 피해가 발생하여, 연간 국가전체적으로 770억원의 어업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해양수산부는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을 통해 천연해조성사업등을 통해 바다사막화 예방사업을 하고 있으며, 실효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성곤 의원은 “기후변화등으로 바다사막화 문제는 더욱 심각해 질 것”이라며, “어족자원 보호와 어업소득 향상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한편 바다사막화 현상은 해조류를 먹는 성게와 같은 조식동물들이 많이 서식하고, 영양염류의 부족과 수질오염 증가, 엘니뇨 현상에 따른 난류세력의 확장 등과 같은 해수온도의 상승과 해양환경 오염 등에 의한 부유물 발생 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바다사막화는 해양 생물의 서식지 파괴에 따른 어류, 패조류 등의 수산자원 고갈 및 어업소득 감소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경기eTV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